본문 바로가기
술/에일(IPA, PA)

Alpha King Pale Ale - 알파킹페일에일

by Gurapher 2019. 3. 3.

Alpha King Pale Ale - 알파킹페일에일

 

Alpha King Pale Ale - 알파킹페일에일

 

재료

 

 구분

내용

시간

구입 

10L

20L

비고 

 몰트

2 Row Malt (1.2°L) 

50min

68℃ 

1.7Kg

1.6Kg

2.7Kg

 

 

Pale Ale malt (3.5°L) 

1.8Kg

1.7Kg

2.9Kg

 

 

 Carapils malt (6°L)

25g

25.8g

43g

 

 

 Melanoidin malt (23~31°L)

 25g

 25.8g

43g

 

 

 CaraMunich II malt (42~49°L)

 25g

 25.8g

43g

 

 

CaraMunich III malt (53~60°L) 

 25g

 25.8g

43g

 

 

Cryatal/Caramel malt (60°L) 

 25g

25.8g

 43g

 

 

 Extra Special malt (130°L)

 25g

 25.8g

 43g

 

 

Red Wheat Flakes (2°L) 

 10g

8.4g

5.9g

20L 대비 63% 곡물 구입 

홉 

Warrior, 16%

90min

9.5g

7.5g

15g

 

 

Centennial, 12%

90min

12.6g

10g

20g

 

 

Cascade,

0min

35.9g

28.5g

57g

 

 

Cascade,

Dryhop

17.6g

14g

28g

실수로35g 투입

 

Columbus,

17.6g

14g

28g

 

 

Centennial, 12%

17.6g

14g

28g

20L 기준 176g 홉필요, 111g 사용

효모

Wyeast 1056 (Ameriacan Ale) or WLP0001 (California Ale)

M44 사용

기타

Irish moss

15min

1/2tsp

 

1tsp

 

정보

OG=1.062    FG=1.016    AVB=6.0%    IBU=66    SRM=14 

 

20L 양조를 하는데 소요되는 곡물이 5.9Kg이고, 구입한 곡물이  3.7Kg임으로 20L 대비 약 63% 수준입니다.

맥주는 20L X 63% = 12.6L를 만들면 될 것 같습니다.

 

90분간 끓일 경우, 증발율은 30% ~ 35% 정도입니다.

증발율을 35%로 잡을 경우, 워트는 19.4L를 준비해야 합니다.

* 증발율이 35%이면 끓이기 전의 워트에서 65%가 남게 됩니다.

* 따라서 준비해야 할 워트는 12.6L ÷ 0.65 ≒ 19.4L 가 됩니다.

 

절차

기본 절차 : 68℃, 50분 당화 - 90분 끓임 - 홉 추가 - 발효 20℃, 3~5일 - 통갈이 - 드라이홉 1주일 - 병입 - 4.4℃, 7일간 숙성 - (선택사항) 1.1℃, 7일간 숙성 - 시음


 

작업

곡물을 준비하였습니다.

Red Wheat Flake는 500g 으로 판매를 하기에 포장된 것을  별도로 구입을 했습니다.



당화용 물은 보통 곡물 무게의 3배 정도를 사용합니다.

당화조의 크기와 곡물의 종류에 따라 초기 물의 양은 조절해야합니다.

이번에는 곡물의 무게 대비 약 3배를 초과한 12L를 준비하였습니다.

- 곡물 3.7Kg x 3 = 11.1L ≒ 12L 준비

68℃에서 60분간 당화를 진행하였습니다.



당화가 진행될 수록 곡물이 줄어들어 섞기가 수월해 집니다.



77℃에서 매쉬아웃하였습니다.



라우터링을 하였습니다.

라우터링을 시작한 초기의 워트의 상태입니다. 



라우터링을 시작한 지 약 15분이 경과한 후의 워트의 상태입니다.

워트가 많이 맑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78℃ 스파징 워터를 준비하여 스파징을 합니다.

워트는 19.4L를 수거해야 하므로 스파징물은 넉넉히 24L를 준비하였습니다.


워트는 당초 계획했던 19.4L보다 다소 많은 20L를 수거했습니다.



끓이는 동안 정해진 시간에 따라 홉을 추가합니다.




워트를 끓이는 동안 발효에 사용할 효모를 준비하였습니다.

효모는 지난번 맥주를 만들 때 수거한 M44 효모를 재사용하기로 하였습니다.

효모를 재사용하는 방법은 여기를 클릭하시기 바랍니다.




이기 위한 워트의 양은 20L 입니다.

끓임용기의 용량이 20L로 워트 20L를 끓이면 넘치기 때문에 워트를 2곳으로 나누어 끓였습니다.

레시피에는 워트를 끓이는 시간이 90분으로 되어 있습니다.

2곳으로 나누어 90분 동안 끓이게 되면 1곳에서 끓이는 것 보다 증발율이 다소 증가합니다. 

그래서 수거한 워트 500ml 를 끓이는 워트에 추가하였습니다. 

90분간 끓인 후 워트의 양을 측정하니 10.8L가 되었습니다.

생각보다 증발이 많이 되었습니다.





당초 예상한 12.6L에 약 1.8L가 적은 양입니다.

이럴 경우 초기비중이 높아지기 때문에 초기 비중을 맞추기 위해서 끓여서 식힌 물을 2L 추가하였습니다.


물을 추가하는 경우에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

끓이고 난 워트는 멸균된 상태이므로 물도 멸균된 물을 사용할 것을 권합니다.

따라서 끓인 물을 사용할 것을 권합니다.

끓이지 않은 물의 경우, 혹시 물에 세균이 있을 수 있습니다.

세균이 있을 경우, 발효과정에서 문제가 생길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물을 2L 추가하고 워트의 양을 재니 약 12.5L 가 되었습니다.




물을 2L 추가한 워트의 초기 비중을 측정하였습니다.

초기비중은 OG=1.068 로 측되었습니다.

예상한 초기비중 1.062보다 조금 높게 나왔습니다.



발효 시작 후, 4일이 지나자 에어락의 움직임이 눈에 띠게 줄어들었습니다.

발효 4일째 되는 날에 통갈이를 하고, 드라이홉을 하였습니다.



라벨


구글링과 Three Floyds Brewery 홈페이지에서 자료를 수집하여 라벨을 만들었습니다.

이전에 출시된 Alpha King Pale Ale 라벨을 사용하였습니다.

현재는 다른 라벨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병입


필렛홉으로 드라이홉을 하면 홉이 풀어지면서 가루가 발생합니다.

이때 발생한 홉 가루가 발효 중인 맥주에 떠다니게 되고 급기야는 맥주를 탁하게 만드는 원인이 됩니다.

맥주를 투명하기 만들기 위해 드라이홉용 홉으로 홉열매를 사용하던가 병입 전에 필터링 등을 합니다.

이번에 제조하는 맥주도 드라이홉을 하는 맥주이기에 통갈이를 하였음에도 발효조 바닥에 부산물이 많이 쌓여 있습니다.




종료 비중을 측정하니 FG=1.010으로 측정되었습니다.

예상했던 종료 비중 1.016 보다는 다소 낮게 측정되었습니다.

알콜 비율은 ABV=7.6% 입니다.

예상했던 6.0% 보다 다소 높게 나왔습니다.

* (1.068 - 1.010) x 131  7.6%





맥주 담을 병을 스타산 희석 용액으로 소독합니다.





병에 남아 있는 스타산 희석액을 없애기 위해 병을 건조시킵니다.





병입과 관련된 도구들을 모두 스타산 희석액에 넣고 소독을 합니다.

다들 아시겠지만 맥주는 발효식품이라 소독이 매우 중요합니다.

맥주에 잡균이 유입되면 맥주가 상할 수 있기에 소독은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발효조 상단에 홉의 부유물이 맥주 위에 떠있습니다.

드라이홉을 하는 경우 발생하는 일반적인 현상입니다.

이런 부유물을 줄이는 방법 중에 하나는 드라이홉이 끝난 맥주를 저온(약 5℃ ~ 10℃)에 두는 것입니다.





저온 침전방식을 사용할 수 없는 저는 망(멸치 다시망)을 준비하였습니다.

망으로 맥주에 섞여 있는 홉을 거르겠습니다.





홉찌꺼기를 걸러가며 맥주를 병입하고 있습니다.





병입하고 난 후의 망에 걸러진 홉의 찌꺼기입니다.

보시는 것 처럼 생각보다 홉이 잘 걸러집니다.

다만 가루로 부서진 홉의 찌꺼기를 다시망으로 거르는 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병입한 Alpha King Pale Ale의 증명사진입니다.



시음


병입 후, 약 2주가 지난 후에 시음을 하였습니다.

페일 에일이라고 하기에는 매우 진한 홉향이 느껴지며 쓴 맛도 다소 강합니다.

종료 비중이 낮게 측정되었음에도 맥아적인 느낌이 진득하게 느껴집니다. 




최종 절차


기본 절차 : 당화용 물 12L 준비 - 68℃, 60분 당화 - 스파징 물 77℃, 24L 준비 -  라우터리 20분 - 90분 끓임 - 끓이는 중 워트 500ml 추가 - 홉 추가 - - 끓인 후, 비중을 맞추기 위해 끓인 물 2L 추가 - 발효 20℃, 3~5일 - 통갈이 - 드라이홉 1주일 - 병입 - 4.4℃, 7일간 숙성 - (선택사항, 1.1℃, 7일간 숙성) - 병입 - 켄디셔닝(15℃, 2주) - 시음


- 당화용 초기물 : 곡물 3.7Kg x 3 = 11.1L ≒ 12L 준비

- 스파징 물 : 77℃, 24L 준비

- 워트 : 20L + 0.5L

- 끓인 물 : 2L


감사합니다.